몸짱을 생각하면 흔하게 가슴, 팔, 복근의 근육을 가장 먼저 떠올리곤 합니다. 그에 반해 엉덩이는 소홀해지기 쉬운 부위입니다. 오늘은 엉덩이 힙업 운동을 해야하는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인들은 오랜 시간을 의자에 앉아 시간을 보내면서 운동량이 부족하여 나타나는 질병을 겪고는 합니다.
엉덩이는 몸의 균형을 잡아주고, 힘을 전달하는 신체의 중심부입니다. 몸 전체의 근육 구축을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하며, 실생활에서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몸 상태를 갖추게 됩니다.
엉덩이 기억상실증(Dead Butt Syndrome)?

앉아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 엉덩이가 본래의 기능을 잊는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내 엉덩이가 기억상실증에 걸렸는지 체크해 보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엎드린 후 손으로 엉덩이 근육을 만지면서 다리를 위로 들어 올려보세요.다리를 들어올렸는데도 엉덩이가 말랑말랑하다면 엉덩이 기억상실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리를 들어올리는 일을 허벅지 뒷근육이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앉아 있을 때에는 근육을 늘려주는 자세입니다. 엉덩이 근육약화로 고관절에 스트레스가 가고 연결되어 있는 허리와 무릎, 발목에도 다양한 질환들에 노출됩니다.
엉덩이 근육약화는 무릎에 통증을 준다.
연구들의 공통적인 내용에는 엉덩이 근육의 약화가 발생했을 때 무릎통증과 관련되어 있다는 연구들은 많이 증명 되었습니다. 고정되어 있는 정강이뼈에 허벅지뼈는 안쪽으로 회전되어 집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슬개골의 움직임 방향에 영향을 주어 연부조직과 무릎연골에 손상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이렇게 반복이되면 염증을 일으키고 통증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골반의 좌우 균형이 맞아야 건강한 엉덩이다.



우리 뇌는 아픈쪽 다리는 보호하려는 기전을 발생시켜 아픈쪽 다리의 체중지지를 덜 하게 만듭니다. 이로인해 한쪽 골반이 아래로 쑥 꺼지면서 부적절한 걸음걸이로 통증을 가져오게 되는 것입니다.
대둔근과 중둔근



한번쯤 운동을 해보았다면 대둔근과 중둔근을 들어보았을 겁니다.
엉덩이 근육의 대표적인 대둔근은 강력한 고관절 신전+외회전 근육입니다. 몸의 근육 중 가장 크고 표면에 위치한 근육으로 인간의 몸을 추진시키는 엔진 역할을 해줍니다.
중둔근은 체중을 한발로 지지할 때 고관절과 골반의 안정성을 유지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중둔근의 약화는 허리통증 고관절 충돌, X다리 등 다양한 질환에 노출 될 수 있습니다.
힙업을 위한 운동



덩키킥
힙업하고 탄력에 도움이 되는 동작입니다. 밴드를 활용하면 운동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어요.
- 무릎과 손을 바닥에 대고 엎드린 자세를 취합니다.
- 한쪽 다리를 등과 수평이 되도록 들어올립니다.
- 긴장감을 느끼면서 다리를 밀어 올리고 등 높이로 내립니다.



힙브릿지
요추와 골분 부위의 안정성을 증진시켜주고 허벅지, 둔부, 몸통 전체를 활성화 시케는 코어트레이닝 및 둔부 운동입니다.
1.천장을 바라보고 누운 상태에서 무릎을 세워 A자가 되도록 한다.
2. 숨을 내쉬면서 엉덩이에 긴장감이 느껴지도록 골반을 들어올린다.
아무리 바쁜 사람도 간단한 동작을 통해서 단련을 시킬 수 있습니다.
통증이 있거나 운동 초보자가 무리하게 스쿼트, 데드리프트 등 운동을 하게되면 대둔근이 제대로 힘을 받지 못합니다.
누워서 엉덩이를 올리거나 엎드린 상태에서 다리를 들어 엉덩이 기억을 살리는 것처럼 쉬운난이도록 시작해서 차차 난이도를 높여갈 것을 추천 드립니다.
엉짱이 되기위한 간단한 운동 2가지
0 공감은 힘이 됩니다~
One thought on “엉덩이 힙업 운동해야 하는 이유와 간단한 운동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