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반이 재활용이 안된다구?

햇반이 재활용이 안된다구?

작년 초까지 판매된 햇반만 해도 30억개,
한줄로 세우면 지구를 열바퀴 돌아야 하는 양이라는데요. 햇반용기, 재활용 안되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우리나라 사람들 분리수거 열심히 참 하죠. 저도 ‘이렇게 분리수거를 하면 모두 재활용이 되겠지’ 라고 생각하곤 했는데요. 분리수거의 올바른 방법에 대해서 찾아보니, 지금껏 잘못 하고 있었던 것들이 많더라구요.. 열심히 하는 것보다 제대로 하는 것이 중요한데, 제대로 알고 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한국환경공단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품에는 숫자가 적힌 표시가 있는데요. 이것은 등급을 나타내는것이 아닌 분리배출표시입니다. 등급이 높다고해서 재사용가능하거나 더 높은 품질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원료에 따라 7등급으로 구분돼요.

1.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재활용X

일회용 물병, 도시락 등 먹는 것을 위한 용기로 주로 사용하지만 재사용시 세균증식 위험이 있는 종류에요.

2.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 (열 강력) ->재활용O

보통 세제나 기름이 들어가는 물질, 장난감 등에 이용돼요. 매우 단단하고 충격에 강하여 내구성이 요구되는 물품에 사용됩니다.

3.pvc:polyvinyl choride 폴리 염화비닐->재활용X

부드럽고 유연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케이블이나 배관용 파이프등으로 이용해요. 식품용으로는 부적합한 플라스틱입니다.

4.ldpe:low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 ->재활용O

비닐봉지나 플라스틱 코팅등에 사용돼요. 비교적 독성 물질이 작아, 안정성이 있어요. 열에는 약하기 때문에 주의해야해요.

5.pp: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 (열 강력) ->재활용O

외부 환경에 강해 재사용시에 비교적 안전해요.

6.ps:polystyrene 폴리스티렌->재활용X

저렴하고 가벼워요. 단열재나 커피음료, 용기등에 사용돼요. 충격에 매우 약하지만 미세 플라스틱의 주범으로 환경파괴를 야기하는 물질이에요.

7.others->재활용X

https://blog.naver.com/cooltree501/222173005084

플라스틱 표시재질 표기 외의 2개 이상의 복합된 플라스틱 재질이거나, 금속이 포함되어있는 제품이에요.

우리는 실생활에서 OTHER라고 표시된 용기를 씻어서 재활용으로 분리수거는 많이 하는데요. 수고는 수고대로 하고, 제대로 된 재활용법도 아니어서 꼭 알아야 할 부분이에요!

OTHER에는 두부용기, 햇반용기, 치킨무 용기, 비요뜨 용기, 카페 테이크아웃컵, 맥주 페트병 등 정말 많아요.

햇반이 재활용이 안된다구?

또 재활용이 안되는 것들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1.과자,라면봉지 등 비닐 OTHER

다시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물질 재활용’은 안되고, 태워서 열 얻는 것만 가능해요. 비닐 태우면 환경문제가 또 일어나지만, 지금 비닐의 70%는 그렇게 처리되고 있어요.

2. 색소 입힌 플라스틱

색깔 있는 맥주, 막걸리 페트병도 재활용이 안돼요. 전세계에서 페트병에 맥주 파는 나라가 몇 없긴 하지만, 이렇게 많이 팔리는 건 우리나라 뿐이라고 해요. 맥주 페트병은 재활용할 수 있지만 투명으로 염색하는데 돈이 더 많이 들어요. 그래서 재활용을 안 합니다. 맥주는 캔이나 병으로 마시는게 좋아요.

3. 다른 재질이 혼합된 플라스틱류

배달용기 같이 음식물이 착색되어 깨끗이 씻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안돼요. 그리고 위에 비닐로 덮은 용기는 재질이 혼합되어 재활용이 안돼요. 비닐을 뗀다고 하더라도 접착제 부분에 남아있는 것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기 때문이에요. 페트병이나 플라스틱 용기는 재활용을 하려면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부착된 상표와 뚜껑, 포장지 등을 말끔하게 제거해야 해요. 그리고 바나나우유,요구르트 등 알루미늄이 부착된 병 또한, 알루미늄 뚜껑을 뗀다고 해도 접착 부분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그래서 압축해서 일반쓰레기에 버려야한다.

주방세제 용기, 샴푸나 컨디셔너 용기로 많이 쓰이는 펌프도 재활용이 안돼요. 보통 펌프를 플라스틱으로 분류해서 버리는데, 펌프에는 금속류인 스프링이 들어있어 따로 분리가 힘들기 때문에 대부분 폐기 처리됩니다.

4. 카페 아이스음료 컵

단단한 PS컵, 투명한 PET컵, 안전한 PP컵 등 소재가 다양해서 일일이 구분을 못해요. 각 소재에 따라 분류하는데도 추가 공정작업이 필요해요. 또한 브랜드 로고가 프린팅 되어 있다면 그 잉크를 제거하는 비용이 또 들어요. 그래서 그냥 일반쓰레기로 버려집니다.

5. 거울, 깨진 유리, 도자기류, 유리 식기류, 내열 유리 냄비뚜껑, 크리스탈 유리, 화분, 주방식기 등

전자레인지나 오븐용 조리 그릇과 같은 내열 유리는 녹는 점이 훨씬 높아서 새로운 유리로 재탄생하기 어렵다. 일반 유리와 섞이면 재가공 과정에서 녹지 않기 때문이에요.

6. 소형 부피

작은 용기(요구르트병, 요플레 용기,칫솔, 볼펜, 인공눈물, 고무장갑, 비닐랩 등)의 소형 플라스틱도 재활용이 안된다고 합니다. 선별장에서 이것까지 걸러낼 인력이 없다고 해요.

7. 코팅된 종이

컵라면 종이, 감자칩통, 아이스크림 포장 종이, 전단지, 나무젓가락 같은 코팅된 종이는 재활용이 안돼요.

영수증도 안되는데, 감열지는 염료와 유기산 등의 약품처리가 되어있기 때문이에요. 전단지도 잉크를 제거하는 비용이 막대해서 일반쓰레기에 버려야 해요.

종이 빨대는 분해가 잘되는 코팅 필름을 사용해 ‘친환경’ 이라고 홍보하죠. 그 이유는 종이 빨대의 경우 재활용되지 않으면 빨대보다 잘 썩는다는 우월성 때문이에요. 그러나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빨대는 대부분 소각장으로 가요. 종이 빨대를 재활용 업체에 보내려면 따로 빨대만 모아서 버려야해요. 하지만 대부분 종이 빨대는 부피가 작고, 따로 선별하는 일도 없어서 대부분 소각이 됩니다.

종이 아이스팩도 쓰레기 처리를 할 때 종이류로 분류해 버리면 안돼요. 종이가 아닙니다. 아이스팩을 물에 불리면 비닐처럼 보이는 재질의 코팅재가 떨어져 나오는데요. 이는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에틸렌’ 성분인데, 종이가 물에 녹아 눅눅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돼요. 그래서 폴리에틸렌의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8. 복합재질

장난감, 젖병, 옷걸이, 어린이 완구, 헤어 드라이기, 전화기, 다리미, 시계, 손전등, 보온도시락통, 비디오테이프 등은 복합재질이라 재활용 불가!

햇반이 재활용이 안된다구?

분리배출법, 중학교에서인가 배웠던 기억이 있네요. 그치만 아직도 쉽지가 않은 것 같아요. 성인들도 어려워하는 재활용법,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성인들도 교육이 필요함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네요. 우리의 삶에 꼭 필요한 교육이 이런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다소 까다롭고, 어렵게 표기되어 있는 분리배출법을 개선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요. 누구나 쉽게 재활용 쓰레기를 구분할 수 있도록, 숫자나 간단한 용어로 표기되었으면 한다는 의견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기관과 기업들의 주도적인 실행이 필요할 듯 해요.

햇반이 재활용이 안된다구? by Been

<옷이날개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osiswing

0 공감은 힘이 됩니다~
OSISWING

, , . OSISWING

One thought on “햇반이 재활용이 안된다구?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