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있으면 유용한 영유아 CPR&하임리히법

뉴스를 보다가 흔히 들어보았을 CPR(심폐소생술)과 하임리히법.
길을 걷는 건장한 한 남성이 갑자기 쓰러져 발작을 일으키다 사망을 한 사건,
그리고 사탕이 기도를 막아 아이가 숨을 쉬지 못하여 위험했던 사건이
바로 그 예이다.
만일 응급 상황이었던 당시에 CPR이 가능했던 사람이나
하임리히법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옆에 있었다면
이 사람들은 소중한 목숨을 잃지 않았을 것이다.

심폐소생술과 심장재세동기.
Pixabay

CPR과 하임리히법은 일반인이 시행하기에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하는 응급 조치법이라 생각하겠지만
순서와 시행법을 잘 숙지한다면 누구나 이러한 위급 상황 중에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다.

영유아에게 시행하는 CPR(심폐소생술)과 하임리히법은
성인에게 조치하는 법과는 엄연히 다르기에
영유아 CPR&하임리히법을 따로 숙지하여야 한다.

어린 자녀를 두고 있는 부모라면 정독해주길 바란다.

영유아 CPR(심폐소생술) 방법

* 대한심폐소생협회에서 일반인에게 배포한 기본소생술과 서울대학교병원의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음.

심폐소생술 생존 사슬 법칙.
대한심폐소생협회

심장 마비를 발견한 즉시,
이는 영유아뿐 아니라 성인에게도 해당되는 생존 사슬 법칙이다.
CPR의 순서를 간단히 말하자면 그림과 같다.
심장 마비의 예방/조기 발견 – 신속한 신고 – 신속한 심폐소생술 – 신속한 제세동 – 전문소생술/심장 마비 후 치료

영아(생후 1개월~만 1세)의 경우

심장이 마비된 영아에게 심폐소생술을 한다. 가슴을 압박할 때에는 손가락 2개로 아이의 흉골과 수직이 되게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1.아이의 숨소리와 호흡이 정상적인지
또는 경련과 발작을 일으키고있지는 않은지 확인한다.
2.주변에 119 신고와 심장자동제세동기를 요청한다.
3.CPR(심폐소생술) – 가슴압박 30회:인공호흡 2회
두 젖꼭지의 정중앙에서 바로 아래쪽을 검지와 중지로 아이의 흉골과 수직이 되게 위치한 후,
분당 100~120회 속도로 4cm 이상의 깊이로 30회 빠르고 강하게 압박한다.
30회 시행 후, 귀와 바닥이 평행이 될 정도로만
한 손으로는 아이의 이마를, 다른 한손으로는 아이의 턱을 들어올려 기도를 개방해준다.
코와 입에 동시에 숨을 불어 넣어주는데 이 때 가슴이 상승할 정도로 1초에 인공호흡 2회를 실시한다.
4.119 도착 또는 심장제세동기를 부착하기 전까지 무한 반복한다.

*심장제세동기에 나오는 지시에 따르도록 한다.

CPR(심폐소생술)
Pixabay

유아(소아)의 경우

1.아이의 숨소리와 호흡이 정상적인지
또는 경련과 발작을 일으키고있지는 않은지 확인한다.
2.주변에 119 신고와 심장자동제세동기를 요청한다.
3.CPR(심폐소생술) – 가슴압박 30회:인공호흡 2회
두 젖꼭지의 정중앙에서 바로 아래쪽을 손바닥 하나의 아래 부분으로만
분당 100~120회 속도로 5cm 이상의 깊이로 30회 빠르고 강하게 압박한다.
심폐소생술 시행자의 어깨가 아이의 흉골과 수직이 되게한다.

30회 시행 후, 귀와 바닥이 평행이 될 정도로만
한 손으로는 아이의 이마를, 다른 한손으로는 아이의 턱을 들어올려 기도를 개방해준다.
이마를 짚은 손으로 코를 막고 인공 호흡을 실시한다.
가슴 상승을 확인하며 1초에 인공호흡 2회를 실시한다.
4.119 도착 또는 심장제세동기를 부착하기 전까지 무한 반복한다.

*심장제세동기에 나오는 지시에 따르도록 한다.

다음은 영아 기도 이물 폐쇄시 대처할 수 있는 방법과 유아 하임리히법이다.

하임리히법
Pixabay

기도가 이물질으로 폐쇄되었음을 확인했을 때,
손으로 이물질을 빼내려 하는 경우 더 깊게 들어갈 수 있으므로
함부로 시행하지 않도록 한다.

*대한심폐소생협회에서 일반인에게 배포한 기본소생술과 서울대학교병원의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음.

영아(1세 이하, 체중 10kg 이하)의 경우

하임리히법을 적용할 수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한다.

기도가 폐쇄된 영아의 등 중앙을 손바닥 아랫 부분으로 세게 5회 두드린다.
네이버 지식백과

1.아이의 호흡과 숨소리에 이상이 있거나 얼굴 청색증이 관찰되는지 확인한다.
2.주변에 119 신고를 요청한다.
3.등 압박 5: 가슴 압박 5
등 압박
한 손으로는 아이의 턱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뒤통수를 감싸며 천천히 안아 올린다.
한 쪽의 허벅지를 비스듬히 경사를 주고 아이의 머리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엎드려 놓는다.
손바닥 아랫 부분으로 등의 중앙을 세게 5회 두드린다.
가슴 압박
아이의 턱과 뒤통수를 감싸 천천히 들어 올린 후,
반대 허벅지를 비스듬히 경사를 주고 그 위에 아이의 머리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바로 눕힌다.
두 젖꼭지 사이의 정중앙 바로 아래 부분을 두개의 손가락으로 강하게 5회 압박한다.
4.이물질이 제거되었음을 확인하거나 119가 도착하기 전까지 무한 반복한다.

유아(2세~5세)의 경우

1.아이의 호흡과 숨소리에 이상이 있거나 얼굴 청색증이 관찰되는지 확인한다.
2.주변에 119 신고를 요청한다.
3.아이가 기침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려하는 경우에는 방해하지 않는다.
4.아이의 등 뒤에서 무릎을 꿇고 선 자세에서 다리 가운데 아이를 세우거나
한 쪽 다리를 아이의 다리 사이에 놓고 다른 한 쪽은 무게를 지탱한다.
겨드랑이 사이로 팔을 감싸고
한 손은 주먹을 쥔 채로 엄지가 배꼽과 명치 사이에 두고
다른 한 손은 주먹을 감싸 빠르게 5회 아이의 몸 안쪽에서 위를 향하도록 밀쳐 올리기를 시행한다.
4.이물질이 제거되었음을 확인하거나 119가 도착하기 전까지 무한 반복한다.

유아에게 하임리히법을 시행한 후에는 강한 복부 압력이 가해진 상태이므로
복부의 장기가 손상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꼭 확인해보도록 한다.

나에게, 혹은 내 아이, 가족과 지인들에게 그런 일이 생기겠어?
하는 안일한 생각보다 미리 알아두어
혹시 모를 일에 대하여 대비하는 것이 어떨까?

옷이 날개 블로그 바로가기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놀이법>글 보기

0 공감은 힘이 됩니다~
OSISWING

, , . OSISWING

댓글 남기기